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투자의 핵심 4편

by 주핏 2023. 8. 15.

안녕하세요. 포스팅을 이틀 동안 올리지 않았는데 이틀 동안 휴식을 조금 가졌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투자에서 손실을 줄이는 방법 중 하나인 장세에 따른 투자 비중의 조절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장세에 따른 투자 비중의 조절

시장의 추세에 따라 투자 비중을 조절하면, 기나긴 하락장에서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상승장의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주식에서 큰 실패를 맛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거의 대부분 패턴이 비슷합니다.

 

장이 하락할 때 손실을 봐도 '곧 오르겠지? 언젠가는 오를 거야'라고 막연한 희망을 가지고 계속 들고 있거나 물타기를 합니다. 그러다가 도저히 참을 수 없을 정도로 큰 손실을 보면 그제야 털고 나옵니다. 하지만 꼭 손을 털고 나온 후에는 귀신같이  폭등장이 펼치게 되죠.

 

그러면 이전에 받은 트라우마 때문에 투자에 참여하지 못하다가, 폭등장이 끝물에 다다를 때 다시 투자에 동참하게 됩니다. 그러면 또 장은 귀신같이 빠지면서 동일한 사이클이 반복됩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근본적인 이유는 장세에 따라 주식 비중을 조절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상식적으로 장이 안 좋거나 폭락할 때에는 주식 비중을 줄이고, 장이 좋고 활황장일 때에는 주식 비중을 늘려야 손실을 줄이고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투자는 거꾸로 합니다. 장이 하락하면 주식 비중을 늘리고, 상승하면 주식 비중을 줄입니다. 그래서 큰 손실을 보는 것입니다.

 

여기서 많은 투자자가 오해를 합니다. 주가가 떨어질 때 사서 오를 때 파는 것은 얼핏 보면 쌀 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사실은 완전히 반대입니다. 

 

몇 가지 질문을 하자면 주식투자에서 수익을 내려면, 어쨌거나 쌀 때 사서 비쌀 때 팔아야 수익이 나는 것 아닐까요?

 

A. 장이 하락할 때 사는 것이 싸게 사는 것이 아니라, 사실은 비싸게 사는 것이라고 주장한 이유는 주가의 한 가지 중요한 속성 때문입니다. 이는 비단 주가뿐만 아니라 모든 투자 자산에도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속성이고, 투자 자산뿐만 아니라 자연계에도 존재하는 중요한 속성입니다.

 

그것은 바로 '추세'라는 속성인데요. 추세는 일종의 관성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방향성은 변하지 않고 움직임을 계속 유지하려는 성질이죠. 즉 오르는 주식은 계속 오르고, 떨어지는 주식은 계속 떨어지려는 속성이 있다는 말입니다.

 

이는 비단 주식뿐만 아니라 모든 투자 자산에도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중요한 속성입니다.

 

핵심을 요약하자면 시장에는 '추세'가 존재하기 때문에 떨어질 때 사서, 오를 때 팔려는 시도는 추세를 거슬러 수익은 제한하고 손실은 제한하지 않는 구조입니다. 때문에 장기적으로 손실을 볼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추세'를 따르면 장기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추세의 방향 따라 기계적인 신호로 매매하는 방법을 추세추종 매매법이라고 합니다. 추세추종 매매 전략은 매우 단순한 것부터 복잡한 보조지표와 매매 규칙으로 구성된 시스템 신호를 이용한 방법까지 매우 다양합니다.

 

한 가지 오해하면 안 되는 사실은 복잡한 기법이 오히려 단순한 기법보다 더 우월하다는 보장은 없다는 것입니다. 실제로는 오히려 단순한 규칙이 더 강건하고 오래 살아남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그 이유는 복잡한 기법일수록 의도치 않게 백테스트상에서 좋은 성과를 찾아내기 위해 과최적화에 빠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되면 과거 데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에서는 좋은 성과를 내지만, 막상 실전에서는 수익은커녕 손실만 누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론은 이번 포스팅의 핵심은 '추세'이며 이는 주식 투자를 할 때 정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모멘텀 전략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투자의 핵심 ETF편  (0) 2023.08.19
주식 투자의 핵심 5편  (0) 2023.08.18
주식투자의 핵심 3편  (0) 2023.08.12
주식투자의 핵심 2편  (0) 2023.08.11
주식투자의 핵심  (0) 2023.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