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산관리

나에게 꼭 필요한 연금자산

by 주핏 2023. 7. 24.

안녕하세요. 드디어 힘든 하루가 다 지나간 거 같습니다. 오늘은 연금자산에 대해 간단히 포스팅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금은 우리가 훗날 퇴직을 하거나 나이가 들어서 은퇴를 했을 때 일정한 금액을 받는 것을 말합니다.

사진:  Unsplash 의 Lukasz Radziejewski

연금은 우리가 훗날 퇴직을 하거나 나이가 들어서 은퇴를 했을 때 일정한 금액을 받는 것을 말합니다.

사진:  Unsplash 의 Lukasz Radziejewski

일반적으로 근로자들이 은퇴 또는 퇴직을 했을 때 정년이 되면 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직장인 분들은 보통 취업을 하시면 4대 보험이 들어갑니다. 거기서 나오는 세금을 토대로 나중에 정년이 됐을 때 퇴직을 하게 되면 나라에서 일정한 금액을 받을 수 있는 거죠.

 

연금은 보통 근로 생활 동안 정기적으로 일정금액을 저축하고 퇴직 후 일정 기간 동안 지원되는 형태로 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근로자 분들은 훗날 퇴직 생활 동안 필요한 경제적 지원을 받고 나라에서 생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죠. 그럼 연금 자산은 어떻게 관리하면 좋을까요?

 

연금자산 관리하기 

 

현재 100세 시대인 만큼 꼭 가입해야 하는 상품 중 하나는 '연금저축'입니다. '서울대 노년 은퇴설계 지원센터'에 따르면 1인당 노후 자금을 20년 물가로 환산하면 한 달에 최소 155만 원에서 228만 원(적정 수준)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매달 200만 원씩 연금이 나오게 하려면 지금부터라도 저축을 많이 해야 하는 거죠.

 

우리가 노후에 쓸 수 있는 재원은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것을 '연금의 3층 보장 체계'라고 부르더라고요. 국민연금은 정부가 운영하기 때문에 개인이 신경 쓸 것이 없이 준비되고, 퇴직연금도 거의 의무화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질문을 할 수 있겠죠 '정년퇴직 후 매달 200만 원을 받으려면 한 달에 최소 155만 원을 어떻게 적금을 넣나요?' 어디까지나 최소 적정 수준입니다. 근로자분들은 인센티브나 성과제를 제외하면 한 달에 고정적으로 받는 수입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무조건 155만 원을 넣을 필요는 없습니다. 

 

고정수입이 많으신 분들은 최소 금액을 넣는 것이 부담이 안되시겠지만 고정수입이 적으신 분들은 매달 몇십만 원이라도 꾸준히 넣으시는 게 좋습니다.

 

그럼 연금을 대체할 만한 건 없을까?

 

매달 연금은 넣되 큰 금액을 넣는 게 부담이신 분들은 배당주에 투자하시면 좋습니다. 배당주에 투자를 한다고 해서 매달 배당금이 들어오는 건 아니지만 연금이나 주식처럼 꾸준히 투자를 한다면 시간이 흘렀을 때 연금보다 더 많은 금액을 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결코 강요는 아닙니다!'

 

배당주에 관련된 건 추후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연금에 대해 자세히 다루지는 않았으나 나중에 더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여러분들께 어떤 정보들을 제공해 드릴지 많이 고민하고 있습니다. 저도 열심히 공부하면서 더 많이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아직 많이 부족하지만 항상 방문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오늘은 이상으로 연금자산에 대한 간단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산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와 연금저축 둘 중에 무엇을 해야 할까? 2편  (0) 2023.08.03
배당자산 관리?  (0) 2023.07.29
금 ETF란?  (0) 2023.07.28
안전자산 투자 및 관리하는 방법은?  (0) 2023.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