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업무를 끝내고 후다닥 빨리 집에 왔습니다..! 드디어 내일부터 주말이네요. 오늘은 지난번에 언급했었던 금 ETF에 대해 포스팅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ETF는 특정 지수의 투자 성과를 따라가도록 설계된 펀드입니다. 주식처럼 코스피 시장에 상장되어 있어서 주식시장이 열리는 시간에 맞춰서 실시간 가격으로 매매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 상장된 금 ETF는 미국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금 가격을 따르고 있습니다. 국제 금 가격의 변동에 따라서 주가가 오르내리는 것이죠. 국내에 상장된 금 관련 ETF와 ETN은 10개 넘습니다.
ETN은 원자재나 주가지수 등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라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한 채권 형태의 상품을 말합니다.
그럼 거래량이 많은 2가지를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거래량을 보는 이유는, 실제로 거래되는 시장 가격과 순자산가치의 차이를 줄이려면 거래량이 많아야 하기 때문이죠. 그렇지 않으면 괴리율이 커져 실제 가치와는 동떨어진 가격으로 거래할 위험성이 있습니다.
KODEX 골드선물(H)
'KODEX 골드선물(H)'은 금에 투자하는 ETF의 이름입니다. 'KODEX'는 삼성자산운용이 만든 ETF의 브랜드명이고, '골드선물'은 금 가격에 투자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지막 'H'가 붙어 있으면 달러의 움직임과는 무관하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것은 '환헤지'라고 읽는데, 환율의 변동이 ETF의 가격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정된 것을 의미합니다. 금의 국제 거래는 달러로 이루어지다 보니 달러의 환율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거죠.
요즘엔 달러로 투자하는 것을 선호하는 추세이지만,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우리나라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환율의 변동에 영향을 받는 것을 싫어했기 때문에 'H'가 붙은 ETF가 많습니다. 'KINDEX'는 한국투자신탁운용이 만든 ETF의 브랜드명입니다. '골드선물'이니 역시 금 가격을 추종하는 ETF입니다.
그다음 '레버리지'는 쉽게 말해 '더블'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오를 때 두 배 더 오르고, 내릴 때 두 배 더 내려갑니다. 파생상품을 활용해서 두 배로 움직이도록 구현한 것이죠.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해하기 어려워도 '레버리지'가 어떤 움직임을 보여주는지는 이해하기 쉽습니다. 금값이 10%가 오르면 레버리지는 20%가 오르고, 10% 하락하면 20%만큼 하락합니다. 그만큼 변동성이 커서 위험성이 높은 편입니다.
그 뒤의 '합성'이라는 것은 외국의 운용사에 위탁하여 운용한다는 말입니다. 외국의 운용사에 돈을 주고 운용을 맡기는 거라 ETF 안에 그들에게 지급하는 비용이 추가로 발생합니다. 대신 현지 시장을 가장 잘 아는 운용사의 도움을 받는다는 장점이 있죠.
마지막으로 붙어 있는 'H'는 마찬가지로 환헤지가 된 ETF라는 의미입니다.
KODEX 골드선물 인버스(H)
다음은 'KODEX 골드선물인버스(H)'입니다. KODEX 골드선물이니까 삼성자산운용이 만든 금 가격을 추종하는 ETF입니다. 그 뒤에 붙은 '인버스'라는 말은 반대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파생상품을 활용해서 기존의 움직임보다 두 배로 움직이게 하는 것을 '레버리지'라고 부른다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인버스'라고 부릅니다.
금 값이 10% 오르면 인버스는 10%만큼 떨어지고 금 값이 10% 떨어지면 인버스는 10% 오르도록 세팅되어 있습니다. 금값이 떨어질 거라고 생각할 경우에 매수하는 ETF입니다.
흔히 떨어질 거라 예측되는 자산은 공매도라는 방법으로 투자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개인투자자가 법적으로 공매도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인버스'라는 이름이 붙은 상품을 대신 활용합니다.
공매도는 주로 초단기 매매차익을 노리는 데 사용되는 투자 기법입니다. 특정 종목의 주가가 크게 떨어질 거라 예상하면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을 빌려 매도 주문을 내는 투자 전략입니다.
오늘은 금 ETF에 대해 이야기해 보았는데요. 달러와 금 모두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만큼 많은 분들이 투자하고 계시는데요.
저는 금현물계좌는 가지고 있지만 금에 투자를 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한정된 수입으로 조금 막혀있는 상태죠....
미국주식을 하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미국주식에 투자를 한다는 건 곧 달러에도 투자를 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렇게 때문에 과거보다 현재 훨씬 더 많은 분들이 달러에 많이 투자를 하고 계시는데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한번 투자해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하루도 정말 고생 많으셨고 저는 다음에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봐 주셔서 너무 감사드리고 항상 방문해 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많이 방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산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와 연금저축 둘 중에 무엇을 해야 할까? 2편 (0) | 2023.08.03 |
---|---|
배당자산 관리? (0) | 2023.07.29 |
안전자산 투자 및 관리하는 방법은? (0) | 2023.07.27 |
나에게 꼭 필요한 연금자산 (0) | 2023.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