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핏입니다.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의 만기 기간이 부담스러울 청년분들을 위한 또 다른 금융상품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분명히 혜택도 좋고 좋은 금융상품인 건 맞지만 5년이라는 만기 기간 때문에 다른 금융상품이 있지 않을까 고민을 많이 하실 거 같아서 한 가지 더 소개해 보겠습니다.
바로 내일채움공제입니다.
가입대상은 만 15~34세(군 복무 시기에 따라 39세까지)
연 소득 3600만 원 이하 즉 월 300만 원 미만인 사람들만 지원이 가능합니다.
단 고용보험 가입 이력이 없거나 최종학력 졸업 후 12개월 이하인 사람들은 지원이 가능한데요. 3개월 미만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총기간에서 제외됩니다. 22년도부터 있던 금융 상품이지만 23년부터는 제조/건설 중소기업만 지원이 가능합니다.
가입기간은 2년 납부 금액은 청년 400만 원 기업400만원 정부 400만원 총 1200만 원을 수령받으실 수 있게 됩니다.
22년도 내일채움공제와 23년 내일채움공제를 비교를 해볼게요.
22년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대상- 만 15세~34세 이하 청년(정규직 채용일로부터 6개월 이내) 고용보험 피보험자가 5명 이상 중소기업
소득요건- 연 소득 3,600만 원 이하
고용보험- 가입이력이 없는 생애최초, 최종학력 졸업 후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
납입금액- 300만 원
정부지원금- 기업 300만 원, 정부 600만 원
만기 기간- 2년총 보상금액- 1,200만 원+이자
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가입대상-만 15세~34세 이하 청년(정규직 채용일로부터 6개월 이내) 50인 미만 제조/건설업 중소기업소득요건- 연 소득 3,600만 원 이하고용보험- 가입이력이 없는 생애최초, 최종학력 졸업 후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납입금액- 400만 원정부지원금- 기업400만 원, 정부 400만원만기 기간- 2년총 보상금액- 1,200만 원+이자
청년도약계좌랑 비교를 했을 때 조건이 조금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기 기간이 2년이라는 점 2년 동안만 꾸준히 적금을 넣는다면 비과세 혜택, 기업과 정부의 지원금, 이자를 더해 1,200만 원이라는 목돈을 가질 수 있게 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를 보시면 이제 막 사회생활을 시작한 사회 초년생 분들 대학을 막 졸업하신 청년 분들을 위한 조건이라고 생각되는데요 사실 고용보험 조건에서 가입이력이 없는 생애최초, 최종학력 졸업 후 가입기간 12개월 이하이신 분들이 가입 가능하시기 때문에 기존에 고용 보험을 가입하시고 직장 생활을 하셨던 분들에게는 조건이 많이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기존에 청년내일채움공제를 가입하셨던 분들은 이제 청년도약계좌로 많이 옮겨가실 거 같은데요.
달라진 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와 청년도약계좌를 잘 비교해 보시고 본인에게 맞는 금융상품을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오늘은 22년 기존의 청년내일채움공제와 달라진 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를 한번 알아보았는데요. 사회초년생이신 분들
분명 좋은 혜택들이 있는 금융상품이기 때문에 잘 비교해 보시고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다음엔 또 다른 금융상품 소개해 볼까 합니다. 많이 방문해 주시고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여러분들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일상 속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을 효과적으로 관리 하는 법 (0) | 2023.07.14 |
---|---|
재테크를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은? (0) | 2023.07.03 |
사회초년생들 청년도약계좌 가입 필수인가? (0) | 2023.07.01 |
ISA계좌는 선택 아닌 필수다? (0) | 2023.06.10 |
CMA는 무엇인가? (0) | 2023.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