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속 재테크

사회초년생 무조건 돈을 모아라?

by 주핏 2023. 7. 22.

드디어 주말이 찾아왔습니다! 이번주도 되게 열심히 달린 거 같네요. 제가 어제 일 때문에 포스팅을 올리지 못해서 혹시나 기다렸으실 분들을 생각하니까 너무 죄송하더라고요.. 바로 시작해 보겠습니다!

 

오늘은 사회초년생 분들 무조건 돈을 모으는 게 정답인가?라는 주제를 가지고 왔습니다. 아무래도 많은 사회초년생 분들이 돈은 무조건 모아야 할까 아니면 들어오는 고정 수입에 따라 조금씩 나눠서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를 하는 게 맞을까 많이 고민하실 거 같습니다. 

 

사진:  Unsplash 의 Alexander Mils

사람마다 돈을 모으는 방식이 다 다르기 때문에 주변 지인들에게 물어봐도 어떤 분들은 무조건 모아라 아니면 어떤 분들은 그래도 조금씩 나눠서 투자를 하는 게 맞지 않냐라고 하시더라고요. 

 

사실 돈을 모으는 데는 정해진 정답은 없습니다. 하지만 저의 개인적인 생각을 말씀드리자면 모아둔 자금이 한 푼도 없는 상황에서는 돈을 일단 모으면서 시작하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금리도 정점을 찍은 상태이고 은행 예금 금리도 높은 상태입니다. 그래서 돈을 500만 원이나 1000만 원이라도 모아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돈을 500만 원이든 1000만 원이든 모아본 사람들은 돈을 모으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하게 됩니다. 그리고 나중에 시드머니가 모였을 때 그 돈을 어떻게 굴려야 할지 고민을 해야겠죠. 물론 무작정 모으는 방법보단 조금씩 나눠서 주식이나 채권 ETF 등등 조금씩 투자를 하시는 것도 여러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럼 돈을 얼마까지 모아야 할까?

이것도 사실 사람마다 기준이 다 다르더라고요. 1000만 원 까지는 모아봐라 아니면 2000만 원 또는 어떤 분들은 5000만 원 까지는 모아야 돈이 돈을 벌어온다고 좀 더 편하게 시드머니를 굴릴 수 있다고 합니다.

 

저는 1000만 원 까지는 모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현재 직장인 분들 월급이 최저시급 기준으로 한 달 세후 200만 원 정도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최근에 짠테크가 유행한다고 하잖아요. 젊은 사람들이 돈을 모으기 위해 한 달에 100만 원으로 버티기 이런 걸 많이 한다고 하시더라고요. 

 

하지만 무조건 100만 원으로 버텨라 이건 아닙니다. 하지만 단 한 달이라도 한번 시도는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더군다나 자취하시는 분들은 솔직히 한 달에 생활비가 많이 지출이 되는 만큼 100만 원으로 한 달 살기가 워낙 힘듭니다.

 

저도 겪어 봤기 때문에 자취하시는 분들은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내역들을 한번 꼼꼼히 확인해 보시고 고정지출 외에 여러 가지 지출 내역들을 확인해 보시고 분명히 줄일 수 있는 부분들이 존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자취하시는 분들 보통 월세로 집을 구하시잖아요. 돈을 모으기 위해서 일부러 보증금 200만 원에 월세 20~30만 원 내고 집을 구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만약 본인이 그 집에 만족을 한다면 상관이 없지만 그게 아니신 분들은 나중에 후회하실 수도 있습니다.

 

내 주거환경이 깔끔하고 안락해야 삶의 질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평소에 나 혼자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나만의 공간인 만큼 집을 구하실 때는 돈을 조금 더 지출하더라도 본인에게 맞는 집을 구하시는 게 맞습니다.

 

만약 투자를 함께 병행한다면 어디에다 투자를 해야 할까?

 

돈을 무작정 모으는 것보다 투자를 함께 병행하길 원하시는 분들은 ETF에 투자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저번에도 언급해 드렸던 S&P500 지수는 미국 주식이지만 한국 증권사에서도 운용을 하는 지수이고 미국에 비하면 저렴한 편이기 때문에 추천드립니다.

 

그 외에도 여러 가지 ETF 종목들이 있고 ETF 외에 채권에다 투자를 하셔도 상관없습니다. 그러니 꼼꼼히 확인해 보시고 투자를 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돈을 모으시는 분들에게 팁을 드리자면 제가 자주 언급하는 부분이지만 CMA통장에 넣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CMA는 하루만 돈을 넣어도 이자를 받을 수 있고 입출금이 자유롭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에 본인이 돈이 급하다면 CMA통장에서 빼서 쓸 수 있습니다.

 

예금은 최소 만기가 1년이고 적금도 만기 기간이 깁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장기간 동안 돈이 묶여있는 걸 감안하셔야 하기 때문에 돈이 묶여있는 게 부담스러우신 분들은 CMA 통장에 넣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예전과 달리 예적금으로 돈을 빨리 모으는 게 많이 힘든 시대입니다. 예적금의 시대가 가고 투자의 시대가 온 만큼 시드머니를 많이 만들어 놓는 게 중요합니다. 

 

부모님이 항상 말씀하시는 게 있어요. '돈은 무조건 꾸준히 모아가라' 이 말이 예전에는 그렇게 와닿지도 이해가 되지도 않았는데 사회생활 하면서 돈을 벌어보니 왜 그런 말씀을 하시는지 이해가 되더라고요.

 

무엇보다 돈을 빠르게 효과적으로 불려 나가는 게 중요한 만큼 고정수입, 고정지출 외에 기타 비용이나 여러 가지 지출 내역들을 꼼꼼히 확인하시고 기록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이걸 확인 안 하면 나중에 내가 지출 내역을 확인했을 때 내가 모르는 지출 내용이 있을 수 있거든요.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돈이 빠져나가는 경우가 많으니 꼼꼼히 확인하고 기록하는 습관을 가지시는 게 중요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사회초년생 분들을 위한 포스팅을 작성해 보았는데요. 저도 작성하면서 돈을 모으는 게 이렇게 힘든 일이구나 나는걸 다시 한번 느끼게 되었습니다. 우리 모두 부자가 되기 위한 스타트라고 생각하시면 좋겠습니다.

 

긴 글 읽어봐 주셔서 감사드리고 저는 다음 포스팅 때 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